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제 지표 이야기, 월별 수출입 동향

by ◐♥ν▦」 2024. 6. 12.

월별 수출입 동향이란

한국 경제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가장 효과적이고 중요한 지표는 [월별 수출입 동향] 지표입니다. 한국은 무역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입니다. 2023년 한국의 실질 경제 성장률 1.36% 중 수출의 기여도가 86.1%를 차지하고 국내총생산 대비 수출액 비중은 35.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2년 56.3% 대비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졌으나 여전히 수출이 한국 경제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월별 수출입 동향의 활용


1. 코스피, 주가 흐름을 확인 및 예측에 활용

산업통상자원부는 매월 1일 지난달의 수출입 통계를 발표합니다. 우리나라는 전산 통계가 잘 갖추어져 있어서 전월 실적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것입니다.

특히 월별 수출보다 일평균 수출이 더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수출 위주의 우리나라 특성 때문에 이 지표가 코스피와의 상관계수가 0.8을 훌쩍 넘기 때문입니다. 이 말인즉은 일평균 수출 동향을 알 수 있다면 코스피를 예측해 볼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

그러나 코스피 지수, 주식은 실적에 선행하므로 일평균 수출 동향을 보고 투자를 하면 늦습니다. 그래서 많은 애널리스트나 각자의 논리와 모델을 가지고 실적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가를 예측하곤 합니다.

한편으로 OECD 경기선행지수를 우리나라 수출 방향을 예측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한국 수출은 환율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세계 경제를 보는 방법 중 하나는 OECD에서 발표하는 OECD 경기선행지수를 참조하는 것입니다. 이 지표는 6~9개월 뒤 경기 흐름을 예측하는 지표인데 10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경기 확장 국면, 이하이면 경기 하강 국면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개월 정도 늦은 발표 시기를 감안하여 3개월 이동평균을 적용하면 우리나라 수출 흐름을 예측해 볼 수 있는 것입니다.

2. 업종별 수출 동향을 통해 실적의 방향성을 확인

기업들은 분기마다 실적을 발표합니다. 예를 들면 삼성전자 1분기(1~3월) 실적은 5월 중순까지 발표합니다. 반면 수출 실적은 매월 확인할 수 있음으로 미리 파악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품목별 상세 수출 실적의 변화 요인이 어디인지에 대한 코멘트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품목별 주요 이슈를 잘 이해해 주식 매매와 같은 의사 결정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줍니다.

3. 지역별 수출 동향을 통해 세계 경제 흐름을 엿보기

월별 수출입 동향 보도자료에서 최근 2~3년간 나라별 수출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장기 데이터를 만들어 우리나라의 지역별 수출 흐름을 관찰할 수도 있습니다. 요즘은 중국에 대한 수출 비중이 줄고 미국에 대한 수출 비중과 아시아 수출 비중이 많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럼 해외 투자를 어디에 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의 시작을 이 자료를 통해 활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월별 수출입 동향 찾기


이처럼 우리나라 경제 상황을 수출 동향을 통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 자료는 산업통상부 웹사이트의 '알림 뉴스' 메뉴의 '보도·참고자료' 항목에서 '수출입'으로 검색하면 찾을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는 주말 및 공휴일과 무관하게 매월 1일 오전에 발표됩니다.

'2024.6.1일 발표된 '2024년 5월 수출입 동향' 자료의 타이틀을 보면 많은 정보들이 그득합니다.

 

- 수출 8개월 연속 플러스 ― 2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

- IT 전 품목 수출 3개월 연속 증가 ― 대 중국 수출 19개월 만에 최대 실적

- 무역수지, 1년 연속 흑자 달성 ― 총 327억 달러 흑자 규모 달성

- 수출 581억 달러(+11.7%), 수입 532억 달러(△2.0%), 무역수지 +50억 달러 흑자

 

 

정리하면

 

우리나라에서 수출은 GDP의 절반 가까운 비중을 차질할 정도로 중요합니다. 특히 일별 수출은 주가지수가 높은 상관성을 지니고 있어서 주식 시장을 예측하고 판단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그리고 매월 발표되는 수출입 동향 자료 중 업종별 수출 동향 데이터를 기록하고 추이를 확인하면 산업별 경쟁력과 경제 동향을 파악하는 데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지역별 수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데, '24.5월 코멘트를 보면 '미국 · 중국 · 아세안 3대 주력 시장을 포함하여, 중남미·인도·일본·중동에 대한 수출도 고르게 증가, 대미 수출은 역대 5월 중 최대 실적 '과 같이 지역별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잘 갖춰진 통계 시스템을 바탕으로 매월 1일 빠르게 발표되는 월별 수출입 동향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경제 현황과 주가 흐름을 예측해 보고 경제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보시길 바랍니다.